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수능 방향성을 문제 삼은 윤석열 대통령의 발언과 교육부 대입 담당 국장이 돌연 경질된 배경을 두고 '갑자기 왜'라는 의문이 적지 않았는데, 저희 취재 결과 갑자기는 아니었습니다. <br> <br>윤 대통령은 이미 지난해부터 공교육 과정에는 없고, 사교육 의존도만 키우는 비문학, 과목 융합형 같은 문제 유형은 출제를 배제하도록 지시했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 <br> <br>대통령 지시가 묵살된 것에 대해서도 매우 엄중하게 질타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> <br>조영민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윤석열 대통령이 학교 교육 과정에서 다루지 않는 내용을 수능 문제에 출제해서는 안 된다는 뜻을 주변에 거듭 밝힌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교육부가 난이도와는 무관한 지시를 교과서에서만 출제되는 '쉬운 수능'으로 잘못 이해해서 발표를 했다는 것입니다. <br> <br>[이주호 / 교육부 장관 (그제)] <br>"학교 수업만 열심히 따라가면 문제를 풀 수 있도록…" <br><br>윤 대통령은 "변별력은 필요하지만 고액 사교육을 받아야만 풀 수 있는 문제를 수능에 내는 것은 공정과 상식에 위배되는 일"이라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<br> <br>"사교육 시장이 덜 발달된 지역의 학생들에게 불이익을 줘서는 안 된다"는 게 윤 대통령의 생각입니다.<br><br>구체적으로 언어영역 비문학 문제나 과목 융합형 문제를 배제해야 한다는 것인데, 이 같은 지시는 지난해 교육부에 비공개로 내려졌습니다.<br> <br>올해 6월 모의고사에서 교육부가 지시를 따르지 않자, 윤 대통령은 "대통령과 장관 지시를 묵살하는 건 그만큼 공고한 이권카르텔을 구축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"이라는 반응을 보였습니다.<br> <br>하지만 민주당은 윤 대통령의 '즉흥 지시'라고 비판했습니다. <br> <br>[강선우 / 더불어민주당 대변인] <br>"파리로 출국 전 심심하셨습니까? 지금 뭐 하자는 겁니까? 뭘 잘 모르면 제발 가만히 있기라도 하십시오." <br> <br>대통령실과 교육부가 '쉬운 수능' 취지가 아니라고 진화하지만 교육 현장은 이미 혼란에 빠졌다고 지적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조영민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: 한규성 조승현 <br>영상편집 : 최창규<br /><br /><br />조영민 기자 ym@ichannela.com